MS-SQL은 제가 알기로는 Windows 에서밖에 구동이 안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요즘에는 리눅스나 유닉스에서도 구동할 수 있게끔 나왔다는거 같기도 하던데
그건 정확하게 모르겠고,
우선 제가 알고 있기로는 윈도우에서만 될 거에요.
그래서 윈도우서버를 쓰면서 모니터링을 자주 했어요.
이번에는 서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툴인
성능모니터(perfmon)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성능모니터 실행시키기
1-1. 시작 - 실행 - erpfmon으로 실행
1-2. 시작 - 성능모니터 검색해서 실행
1-3. 제어판 - 관리도구 - 성능 모니터 실행
2. 성능모니터 실행 화면
3. 성능모니터 항목 추가
3-1. 상단 + 버튼 눌러서 추가 설정
3-2. 사용 가능 카운터 추가
3-3. 설명 확인하기
하단에 설명 표시 체크박스 체크를 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해당 설명을 보고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4. 서버 상태 모니터링 및 저장 설정
4-1. 데이터 수집기 집합 - 사용자 정의
4-2. 사용자 정의이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데이터 수집기 집합 선택
4-3. 이름 지정하고 템플릿으로부터 만들기 선택후 다음
4-4. 기존에 쓰던 템플릿이 있으면 찾아보기로 템플릿 추가 가능합니다.
없거나 아니면 기본 혹은 원하는 것을 선택 후 다음버튼 누르면 됩니다.
4-5. 로그 파일 저장할 경로 설정
후 다음 버튼 눌러주시면 됩니다.
4-6. 마침으로 저장
4-7. 방금 만든 데이터 수집기 - 마우스 우클릭 - 속성 선택
4-8. 파일 경로 및 파일명 확인
디렉터리 탭으로 이동합니다.
루트 디렉터리 : 저장되는 파일의 경로입니다.
4-9. 일정 변경하기
일정 탭으로 이동 - 추가 혹은 편집 선택
4-10. 일정 지정
시작 날짜 : 시작되는 날짜
시작 시간 : 해당 시간에 시작
요일 : 체크된 요일에만 구동이 됩니다.
4-11. 중지조건 설정
한도에 도달하면 데이터 수집기 집합을 다시 시작 : 파일을 분리합니다.
기간 : 1일로 선택하면 1일 한개의 파일을 생성합니다.
기간을 다르게 설정하면 해당 기간에 파일을 생성합니다.
4-12. 추가한 것의 상세로 들어가서 모니터링 할 것을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속성
4-13. 저장할 항목 등을 선택
성능 카운터 : 저장할 성능 항목들
로그 형식 : 쉼표로 구분은 cvs파일, 탭으로 구분은 txt 파일로 저장됩니다.
샘플 간격 : 얼마마다 한번씩 상태를 체크해서 저장할 지 선택합니다.
계속 돌려야 할 때는 10초에 한번씩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4-14. 성능 카운터 추가
추가 버튼을 눌러 추가해 줄 수 있습니다.
설명은 3-3과 동일합니다.
4-15. 파일명 규칙 등 저장
파일 탭
로그 파일 이름 : 파일명 규칙. 맨 앞에 시작할 문구 저장합니다.
파일 이름 형식 : 년월일 시분초 등 여러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 버튼을 누르면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에 컴퓨터 이름을 접두사로 지정 : 파일명의 시작을 컴퓨터 명으로 시작합니다.
파일 이름 예 : 파일이 어떻게 저장될 지가 나옵니다.
> 눌렀을 때 나오는 설명들입니다.
5. 저장된 로그파일 보기
5-1. 로그 데이터 보기 실행
5-2. 로그 파일 열기
원본 탭 - 로그 파일로 변경 - 추가
5-3. 원하는 로그 파일 선택 후 열기로 열기
5-4. 시간범위 선택
이 건은 선택사항입니다.
시간 범위 선택하여 보고 싶은 시간대만 선택 가능합니다.
5-5. 보고 싶은 카운터 추가하기
그래고 나오는 곳 - 마우스 우클릭 - 카운터 추가 선택
5-6. 왼쪽 중간 박스에 보면 로그로 저장한 내용에 대한 것들이 나옵니다.
그 중 원하는 것을 선택 - 추가 - 추가된 카운터에 있으면 확인버튼 눌러서 저장
5-7. 선택된 것들이 아래쪽에 색상 및 설명이 나옵니다.
위쪽에는 상태값이 나옵니다.
이렇게 하면 성능을 로그파일로 생성해놓고,
문제가 있었던 시간대의 내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성능모니터만 잘 이용해도 windows 를 모니터링 하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windows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툴인 성능모니터(perfmon)에 대한 사용방법이였습니다~
'컴퓨터관련 > 컴퓨터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브라우저]디버깅 하기 (0) | 2019.09.24 |
---|---|
[Windows]DNS로 IP주소 확인하기 (0) | 2019.08.12 |
[윈도우]윈도우에서 tail 사용하기 (0) | 2019.06.28 |
[윈도우]윈도우10 컴퓨터 이름(호스트네임)변경하기 (0) | 2019.04.04 |
[툴관련]노트패드++ (0) | 201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