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이클립스7

[STS]eclipse에서 브레이크 포인트 관리 및 스킵,해지처리 오늘은 STS(eclipse)에서 브레이크 포인트를 관리하고,스킵 및 스킵해지 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STS(eclipse)에서 브레이크포인트를 거는 것은 개발을 할 때 좋습니다.디버깅모드로 실행을 하고 나면 해당 위치에서 멈추게 됩니다.그러면 한줄씩 실행하면서 값이나 서버 상태,에러가 나는 곳과 원인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브레이크포인트를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Breakpoints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및 해제우선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하고 해제하는 방법부터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더블클릭더블클릭으로 해서 브레이크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소스코드를 보면 라인수가 나오고그 옆에 공간이 있.. 2024. 5. 29.
[Java]톰캣 실행 시 localhost was unable to start within 45 seconds 오류 발생 조치방법 이클립스나 STS 등에서 톰캣 실행 시 타임아웃이 나면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Server Tomcat v8.5 Server at localhost was unable to start within 45 seconds. If the server requires more time, try increasing the timeout in the server editor. 위처럼 에러가 발생하면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조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이렇게 오류가 나는 것은 톰캣 실행하는 시간이 지정되어 있는데 그 시간 안에 톰캣이 뜨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timeout 시간을 조정해주면 됩니다. 조정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설정한 서.. 2022. 1. 6.
[Java]이클립스, STS에서 자동재컴파일 설정 및 해제 오랜만에 글을 다시 쓰게 되었네요. 간간히 다시 써보도록 할께요. 오늘은 이클립스 혹은 STS에서 자동재컴파일을 설정 및 해제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소스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하고 계속 수정하는 경우가 좀 있어요. 그런데 저장하면 계속 컴파일을 하면서 귀찮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자동 재컴파일을 껐다가 켰다가 하면서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이번에는 자동재컴파일을 설정 및 해제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동재컴파일 해제 자동 재컴파일을 해제하는 방법부터 정리해보도록 할께요. 자동재컴파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Project - Build automatically 메뉴에서 체크해제를 해주시면 되십니다. 자동 재컴파일이 될 때는 위처럼 체크가 되어 있습니다. 이 체크를.. 2022. 1. 3.
[Java]이클립스 강제 Pull 받기 개발을 하다 보면 소스가 꼬이거나 할 때가 있습니다.그럴 때는 소스를 다시 특정 시점으로 돌려야 합니다.git에 있는 특정 시점으로 돌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1. 이클립스 - Team Synchronizing 2. History 탭 3. 돌아가고자 하는 시점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Reset - Hard 선택 4. 경고창 떳을 때 Rest 선택 위처럼 하게 되면 선택되었던 시점을 기준으로그 때 당시의 소스로 무조건 pull 받게 되어 있습니다.그러면 그 때 당시로 소스가 돌아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면 다시 개발을 하거나 하면 됩니다.다만, 저는 이렇게 강제풀 받기 전에는 기존에 수정했던 소스들을 백업받아 놓는 것을 추천합니다.그러면 다시 개발을 하든, 복붙을 하든 편하게 .. 2019. 5. 2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