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컴퓨터관련/Oracle14

[Oracle]테이블 정보 확인 및 검색하기 오늘은 오라클에서 특정 테이블의 정보를 쿼리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순수 테이블 정보만 보기 위해서는 여러 DB툴 등에서 확인할 수 있겠지만 쿼리를 이용하면 DB툴이 없을 때도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컬럼을 포함한 테이블등도 모두 조회할 수 있어서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Oracle에서 제공하는 기본 Table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검색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Table 기본 정보 확인하기 우선 Table Name을 이용하여 해당 테이블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해당 테이블의 기본적인 정보를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 FROM ALL_COL_COMMENTS WHER.. 2024. 2. 14.
[Oracle]오라클 테이블 및 인덱스 사용 용량 확인하기 오늘은 오라클에서 테이블 및 인덱스의 사용중인 사이즈를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Oracle을 사용중인데 얼마전에 보니 테이블 스페이스의 용량이 많이 부족하더라고요. 그래서 확인을 해봤더니 특정 테이블에서 엄청난 용량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이러한 테이블에 대해서 정리를 하면서 용량을 확보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용량을 차지하는 테이블을 알려고 할 때 했던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테이블에서 사용중인 용량 확인하기 우선 table에서 사용중인 용량을 확인해보기로 했습니다. 우선 전체 테이블에서 사용중인 용량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table_name, num_rows, num_rows * avg_row_len, round((num.. 2023. 8. 2.
[Oracle]오라클 타임스템프 이용 데이터 확인 및 복구하기 오늘은 오라클에서 타임스템프 명령어를 이용하여 과거의 데이터를 확인 및 복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DB를 관리하고 사용하다보면 잘못해서 UPDATE, DELETE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과거의 데이터가 어떻게 되어있었는지 알 수 있다면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시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Oracle에서는 이렇게 할 수 있도록 TIMESTAMP라는 명령어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타임스템프는 해당 조건에 맞게 과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러면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구 등도 할 수 있습니다. 타임스템프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 from 테이블명 as of timestamp (systimestamp-interv.. 2023. 6. 15.
[Oracle]오라클의 SID, Service Name의 차이점과 확인방법, Java에서 연결 설정방법 오늘은 Oracle의 SID, Service Name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차이점과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Java에서 설정을 할 때 어떻게 설정을 하면 되는지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SID와 Service Name에 대해서는 아마 오라클 뿐 아니라 다른 DB들... 즉 SQL Server, MY SQL등도 동일할 것 같아요. 확실하지는 않지만 동일할 것으로 추정이 되요. 아무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차이점 1) SID SID는 하나의 DB인스턴스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서버 하나에 한개의 SID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다른 서버들에는 동일한 SID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2) Service Name 서비스 네임의 경우,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하나의 서비스.. 2022. 6. 23.
728x90
반응형
LIST